엊그제 프랑스 파리에서 폐막한 제47차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는 우리의 울산 반구천 암각화와 남북을 굳이 가릴 이유가 없는 민족의 영산(靈山) 금강산을 새로운 세계유산 목록에 올렸다. 더불어 2026년 제48차 위원회 개최지로 부산을 선정했으니 우리에겐 겹경사가 아닐 수 없었다. 부산 세계유산위는 당연히 한국의
이탈리아 베르가모는 언덕 위의 구시가지와 언덕 아래 신시가지로 나눠진다. 두 시가지를 연결하는 교통수단이 산악기차 푸니쿨라레다. 구시가지 가파른 언덕에 자리잡은 베르가모성은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기도 했다. 푸니쿨라레는 주민을 위해 설치했지만 지금은 중요한 관광자원의 하나가 됐다. 유명한 ‘푸니쿨라 푸니쿨라’도 나
요즘엔 각종 시험 답안지를 당연히 주최 측이 준비하지만 조선시대 과거는 그렇지 않았던 모양이다. 증광시처럼 임금이 시험장에 나가는 친림시(親臨試)는 국가에서 시험지를 제공했다. 하지만 식년시 같은 정기시험은 응시자가 용지를 마련해 예조에 내면 확인 도장을 찍고 돌려주는 방식이었다.조선 후기가 되면 과거 응시자가
서울도시문화연구원과 한국부동산박사회는 11일 서강대 미래교육원 회의실에서 상호 발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두 기관이 보유한 전문성과 인적·물적 자원을 바탕으로 학술·정책 연구 , 공동 세미나 개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등 분야에서 협력을 추진하는 내용이다.두 기관의 협약은 도시의 문화적 가치와 공간 개발의
남해 지족해협 죽방렴 어업과 경북 울진 금강송 산지농업시스템이 엊그제 유엔식량농업기구(FAO)의 세계중요농업유산에 등재됐다. 세계농업유산은 FAO가 인류가 환경에 적응하며 형성한 농업 시스템을 보전하고자 2002년 창설했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이 보존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면 세계농업유산은 먹거리 생산활동의 지속
서울 마포의 합정동은 세계적인 명소인 ‘홍대앞 문화권’이 확장하며 그에 못지않게 진화하고 있다. 합정역 교차로에서 양화진길을 따라 한강 방면으로 걸음을 옮기다 보면 오른쪽에 양화진외국인선교사묘원이 나타난다. 내부로 들어서면 조선시대 한강을 방어하던 군사시설 양화진의 옛터도 보인다.독일 음악가로 ‘대한제국 애국가’
고리원자력발전소는 부산 기장군 장안읍 고리에 있다. 고리는 4기의 원자력 발전기가 있는 국내 최대 발전 단지다. 고리원전 1호기는 1971년 착공해 1977년 완공됐다. 고리 1호기 역사를 보면 우리나라가 원자력 발전에 비교적 일찍 눈떴다는 생각을 갖게 된다.무엇보다 산업화가 본격화하면서 전력 수요가 급증하고 있
경기 남양주시가 조안면을 정약용면으로 바꾸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흔히 마재라고 불리는 남양주시 조안면 능내리는 다산이 태어나 살던 마을이다. 사랑채인 여유당을 비롯한 옛집이 남아 있고 뒷산에는 무덤도 있다. 조선 후기 실학에서 다산이 차지하는 비중을 상징하듯 실학박물관도 자리잡았다.남양주시엔 이미 다산신도시가
빨갱이 자식에서 유공자 아들로부친은 항일·농민운동 하다 옥살이초교 4년 때 첫 대면… 6·25로 이별2020년엔 국가유공자증·훈장 받아신춘문예 10관왕 되기까지‘당선’되지 않은 것은 뭔가 모자란 탓상상 못 할 고통의 시간 보내며 창작‘기성의 벽’ 넘어 나만의 새로움 제시200만개 단어 가진 우리말주말이면 시를 싣
작가 최인훈이 쓴 소설 ‘광장’의 주인공 이명준은 아버지가 공산주의자라는 이유로 사상을 의심받고 감시와 폭력에 시달리자 월북한다. 하지만 북한의 현실 또한 모순과 허위로 가득 차 있을 뿐이었다. 북한군으로 6·25전쟁에 나섰지만 포로가 된 그는 결국 남한도 북한도 아닌 중립국행을 선택한다.‘광장’이 제3국행 북한